Neo-Neo-Postmodernism: On the Ruins of Deconstruction

1. The Condition After Postmodernism

In the late 20th century, postmodernism dismantled the myths of modernism—its universal truths and narratives of progress—while advocating for difference, plurality, and the fragmented subject. Yet over time, postmodernism often fell into the trap of “infinite relativism.” As a result, in the context of social and political crises, art gradually lost its critical sharpness and was reduced to a harmless form of play.

Today we stand at a point beyond this deconstruction. The crises of the 21st century demand not only dismantling, but also new recompositions and shared denominators. It is at this juncture that Marknsol introduces the concept of “Neo-Neo-Postmodernism.” This is not merely a repetitive phrase like “post-postmodernism,” but a new aesthetic attempt to weave together fragments, victims, objects, and networks into a renewed constellation.


2. Memory and Coordinates: Mapping Fragments

The artist’s central language is memory. Memory is not a complete record but a fragmentary and unstable trace. Yet these fragments do not scatter at random; they become fixed to specific coordinates. These coordinates are not merely physical points, but intersections of wounds, events, oblivion, and recollection. Thus, memory inscribed as coordinates transforms from personal experience into social and historical testimony.

Equally important is that these coordinates are not isolated. They are linked, forming what the artist calls a network—not a digital grid, but an invisible structure that binds together traces of memory and sacrifice. It is at once a map of solidarity through shared wounds and a structure that exposes ruptures.


3. Victims and the Readymade: The Transformation of Objects

Within this network, the shadow of the victim is ever-present. As René Girard has argued, communities maintain order by designating scapegoats. Such a sacrificial structure is not a singular historical event but a recurring social mechanism. Marknsol summons the trace of this sacrifice through objects.

Stones, shoes, bread, and hands—ordinary objects of daily life—are presented as readymades. If Duchamp’s readymades were a provocation against the institution of art, Marknsol’s readymades are mediators that testify to memory and sacrifice. Stripped of their function, they nevertheless embody wounds and time, acquiring new layers of meaning in the gaze of the viewer.


4. The Icon: A Device of Gaze

Objects re-summoned as readymades ultimately ascend to the status of icons. An icon is not a mere symbol; it is an eye that gazes back at us. In the Christian tradition, icons mediated between transcendent reality and the community of faith. Marknsol’s icons, however, contain not mystical transcendence but the weight of sacrifice and memory.

In front of the icon, the viewer is no longer a passive consumer. They become a witness, and at the same time, a participant—perhaps even a culprit. The icon functions not as an image to be seen, but as an image that gazes, confronting the viewer with ontological unease and ethical questions.


5. Neo-Neo-Postmodernism: Reconfiguration After Deconstruction

This entire process converges in the concept of Neo-Neo-Postmodernism.

Modernism established the myth of progress and universality.

Postmodernism deconstructed and fragmented that myth.

Neo-Neo-Postmodernism seeks to reconnect the fragments and weave them into new constellations of meaning.


This is not a return to modernist integration. Rather, it is a networked reconfiguration that reveals fractures, wounds, sacrifices, and fragments, yet binds them together nonetheless. It is not a mere “parallelism of pluralities,” but an effort to establish a new icon upon the shared denominator of suffering and trauma.


6. Conclusion: Art as Evidence and Question

In Marknsol’s practice, art is no longer ornament or aesthetic pleasure. It is evidence, question, and shock. His work does not comfort the viewer; it unsettles, disturbs, and places the viewer in the position of witness.

Thus, Neo-Neo-Postmodernism is not a rhetorical invention but a condensed proposal for the ethical and aesthetic tasks facing contemporary art. It is a radical act of picking up stones from the ruins of deconstruction and drawing new constellations in the night sky of our fractured present.




뉴뉴포스트모던니즘: 해체 이후의 잔해 위에서

1.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조건

20세기 후반의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보편적 진리와 진보의 신화를 해체하며, 차이와 다원성, 파편화된 주체의 존재 방식을 옹호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포스트모더니즘은 종종 **“무한한 상대주의”**라는 덫에 빠졌다. 그 결과, 사회적·정치적 위기 속에서 예술은 날카로운 비판의 힘을 잃고, 무해한 유희로 축소되었다.

오늘날 우리는 이 해체 이후의 지점에 서 있다. 21세기의 위기는 단순한 해체가 아니라, 새로운 재조합과 공통의 분모를 요구한다. 바로 이 지점에서 Marknsol은 **“뉴뉴포스트모던니즘”**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이는 단순히 ‘포스트포스트모던’이라는 반복적 수사가 아니라, 파편과 희생, 사물과 네트워크를 다시 엮어내려는 새로운 미학적 시도다.


---

2. 기억과 좌표: 파편의 지도

작가의 핵심 언어는 기억이다. 기억은 완전한 기록이 아니라, 파편적이고 불안정한 흔적이다. 그러나 이 파편들은 무작위로 흩어지지 않고, 특정한 좌표에 고정된다. 좌표는 단순히 물리적 지점이 아니라, 상처와 사건, 망각과 회상의 교차점이다. 따라서 좌표화된 기억은 개인적 체험을 넘어, 사회적·역사적 증언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 좌표들이 고립되지 않고 서로 연결된다는 점이다. Marknsol이 말하는 네트워크는 단순한 디지털적 연결망이 아니라, 기억과 희생의 흔적을 엮어내는 보이지 않는 구조다. 그것은 상처를 공유하는 연대의 지도이자, 동시에 균열을 드러내는 구조다.


---

3. 희생자와 레디메이드: 사물의 전환

이 네트워크 안에는 언제나 희생자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르네 지라르가 지적했듯, 공동체는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희생양을 설정한다. 이러한 희생의 구조는 단일한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반복되는 사회적 메커니즘이다. Marknsol은 이러한 희생의 흔적을 사물을 통해 호출한다.

돌, 신발, 빵, 손과 같은 일상적 오브제들은 레디메이드로 제시된다. 뒤샹의 레디메이드가 “예술 제도에 대한 도전”이었다면, Marknsol의 레디메이드는 기억과 희생을 증언하는 매개체다. 기능을 상실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은 상처와 시간을 품은 채 관람자의 응시 속에서 새로운 의미망을 획득한다.


---

4. 아이콘: 응시의 장치

레디메이드로 소환된 사물은 궁극적으로 아이콘으로 승화된다. 아이콘은 단순한 상징이 아니라, 우리를 응시하는 눈이다. 기독교 전통에서 아이콘은 초월적 실재와 신앙 공동체를 연결하는 매개였다. 그러나 Marknsol의 아이콘은 종교적 신비 대신, 희생자의 흔적과 기억의 무게를 담고 있다.

아이콘 앞에서 관람자는 더 이상 수동적인 소비자가 아니다. 그는 증인이며, 동시에 참여자이자—어쩌면 공범이 된다. 아이콘은 단순히 “보여지는 이미지”가 아니라 “응시하는 이미지”로 작동하며, 관람자에게 존재론적 불안과 윤리적 질문을 던진다.


---

5. 뉴뉴포스트모던니즘: 해체 이후의 재구성

이 모든 과정은 궁극적으로 뉴뉴포스트모던니즘이라는 개념으로 집약된다.

모더니즘은 진보와 보편성의 신화를 세웠다.

포스트모더니즘은 그것을 해체하고 파편화했다.

뉴뉴포스트모던니즘은 그 파편들을 다시 연결하여 새로운 의미망을 짜려 한다.


그러나 이것은 모더니즘적 통합으로의 회귀가 아니다. 오히려 균열과 상처, 희생과 파편을 드러낸 채로 연결하는 네트워크적 재조합이다. 이는 단순한 “다원성의 병렬”이 아니라, “공통의 분모”, 즉 고통과 상처를 공유하는 자리 위에서 새로운 아이콘을 세우려는 시도다.


---

6. 결론: 증거와 질문으로서의 예술

Marknsol의 작업에서 예술은 더 이상 장식이나 미적 쾌락이 아니다. 그것은 증거이며, 질문이며, 충격이다. 그의 예술은 관람자에게 위로를 주지 않는다. 대신 관람자를 흔들고, 불편하게 하고, 증인의 자리에 세운다.

따라서 뉴뉴포스트모던니즘은 단순한 조어가 아니라, 오늘날 예술이 직면한 윤리적·미학적 과제를 응축한 제안이다. 그것은 “해체 이후의 폐허”에서 다시 돌을 들어 올려, 부서진 현재의 밤하늘 위에 새로운 별자리를 그려내려는 급진적 행위다.

Comments

Popu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