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verturning of the Ice Discourse








By freezing everyday remnants and revealing them only through a mirror, I summon the viewer not as a spectator but as a witness—or even an accomplice



Readymade, the Scapegoat, and Icons on the Ruins

Today, ice has already become a familiar material in contemporary art. Olafur Eliasson piled blocks of ice in the middle of the city, turning the visual shock of climate crisis into a monument. Néle Azevedo placed small ice figures on public steps, transforming their melting into a ritual of collective mourning. Yet both confined ice to a spectacle of disappearance. Their ice ultimately vanishes, leaving only a sensory experience behind.

I overturn this discourse.
My ice is neither a symbol of climate nor a stage for collective mourning. It is a readymade of memory. Just as Duchamp dragged everyday objects into the museum to mock the institution, I seal fragments of the everyday into ice to indict the very institution of memory and sacrifice. Bread, shoes, hands—these objects lose their function, frozen cold, reborn as icons of the victim.

Here I invoke René Girard’s concept of the scapegoat. Communities always preserve order by excluding and sacrificing someone. My frozen objects expose this very mechanism of sacrifice. They do not speak, yet they persist as silent witnesses. Before them, the viewer is no longer a consumer. They become a witness, and at times, an accomplice.

These objects also embody Agamben’s “state of exception.” Sealed in ice, they are alive yet dead, dead yet still present—stripped of function, yet in that exclusion they gain new meaning. They exist outside the system, and yet in this very exteriority they reveal the truth of the community.

Thus my work is a declaration of New New Postmodernism.

I reject Eliasson’s environmental sublime.
I move beyond Azevedo’s collective mourning.
I freeze the objects of everyday life and transform them into ethical icons.

New New Postmodernism is not mere recombination. It does not conceal fragments and fractures, but exposes them, weaving them into new constellations. Ice is no longer a spectacle of disappearance, but evidence and indictment, an ethical device that unsettles the viewer.

Art is no longer decoration.
Art is evidence.
Art is a question.
Art is a radical act of raising new icons upon the ruins of the broken.




레디메이드, 희생양, 그리고 잔해 위의 아이콘

오늘날 얼음은 동시대 미술에서 이미 익숙한 소재다. 올라퍼 엘리아슨은 얼음을 도시 한복판에 쌓아올려 기후위기의 시각적 충격을 기념비로 만들었다. 네레 아제베두는 작은 얼음 인물들을 계단에 앉혀놓고, 그것들이 녹아내리는 과정을 집단적 애도의 의례로 전환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얼음을 소멸의 스펙터클로 한정했다. 그들의 얼음은 결국 사라지고, 감각적 경험만 남는다.

나는 이 담론을 전복한다.
내 얼음은 기후의 상징도, 대중적 추모의 무대도 아니다. 그것은 기억의 레디메이드다. 뒤샹이 일상의 오브제를 미술관으로 끌어들여 제도를 조롱했듯, 나는 일상의 파편들을 얼음 속에 봉인하여 기억과 희생의 제도 자체를 고발한다. 빵, 신발, 손—이 사물들은 기능을 잃고, 차갑게 봉인된 채, 희생자의 아이콘으로 다시 태어난다.

여기서 나는 르네 지라르가 말한 희생양 구조를 끌어온다. 공동체는 언제나 누군가를 배제하고 희생시킴으로써 질서를 유지한다. 나의 얼음 속 오브제는 바로 이 희생의 메커니즘을 드러낸다. 그것은 말하지 못하지만, 침묵 속의 증언자로 존재한다. 관람자는 그 앞에서 더 이상 소비자가 아니다. 그는 증인이고, 때로는 공범이다.

또한 이 사물들은 아감벤의 ‘예외 상태’를 구현한다. 얼음 속에 봉인된 사물은 살아 있으나 죽은 것, 죽었으나 여전히 남아 있는 것, 기능에서 배제되었지만 배제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획득한 존재다. 그것은 시스템의 바깥에 있지만, 바로 그 바깥이 공동체의 진실을 드러낸다.

따라서 나의 작업은 뉴뉴포스트모던니즘의 선언이다.

나는 엘리아슨의 환경적 숭고를 거부한다.

나는 아제베두의 집단적 애도를 넘어선다.

나는 일상의 사물을 얼음 속에 봉인하여, 그것을 윤리적 아이콘으로 전환한다.


뉴뉴포스트모던니즘은 단순한 재조합이 아니다. 그것은 파편과 균열을 감추지 않고, 오히려 그것들을 드러낸 채로 새로운 별자리를 구성한다. 얼음은 더 이상 사라지는 유희가 아니라, 증거이자 기소장이며, 관람자를 불편하게 만드는 윤리적 장치다.

예술은 이제 장식이 아니다.
예술은 증거다.
예술은 질문이다.
예술은 부서진 잔해 속에서 새로운 아이콘을 세우는 급진적 행위다.

Comments

Popu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