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nifesto of New New Postmodernism in the Genealogy of Art Manifestos

 The Manifesto of New New Postmodernism in the Genealogy of Art Manifestos


1. The Futurist Manifesto (1909)

Filippo Tommaso Marinetti praised speed, machines, energy, and even war, proclaiming a radical break with tradition. The future, he claimed, could only be born through the destruction of the past.

Difference with New New Postmodernism: Futurism sought to burn the past, while New New Postmodernism seeks to reassemble the debris of the past into new constellations of meaning.


2. The Dada Manifesto (1916)

Tristan Tzara and others declared meaninglessness, chance, and anti-art in response to the absurdity of war. Dada dismantled value systems and mocked institutions.

Difference with New New Postmodernism: Dada stopped at exposing absurdity, while New New Postmodernism insists on transforming the ruins into networks of testimony.


3. The Surrealist Manifesto (1924)

André Breton elevated the unconscious, dreams, and automatic writing as the sources of a new vision of reality. Surrealism turned inward to explore psychic potential.

Difference with New New Postmodernism: Surrealism focused on the individual unconscious, while New New Postmodernism calls forth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history—memory, sacrifice, and ruins.


4. The Situationist Manifesto (1960s)

The Situationist International critiqued the spectacle of consumer society and sought to dissolve the boundaries between art and life. They aimed to expose false realities produced by power and capital.

Difference with New New Postmodernism: Situationism dismantled the spectacle, while New New Postmodernism attempts to reconfigure the fragments and scars into new icons of truth.


5. The Manifesto of New New Postmodernism (Kwangmok Son, Marknsol)

New New Postmodernism arises after the universalism of Modernism and the fragmentation of Postmodernism. It begins with debris, sacrifice, language, and the readymade, weaving them into new coordinates.


Like Futurism, it is radical, but instead of destruction, it seeks reassembly.

Like Dada, it questions institutions, but instead of meaninglessness, it creates ethical questions.

Like Surrealism, it makes the invisible visible, but it reveals collective wounds rather than individual dreams.


Like Situationism, it critiques structures of reality, but instead of dismantling spectacle, it establishes icons on ruins.


 Conclusion

The Manifesto of New New Postmodernism inherits the lineage of 20th-century manifestos but responds to the conditions of the 21st century—after deconstruction, in a world of ruins and sacrifice.

Where earlier manifestos proclaimed negation and rupture, New New Postmodernism proposes a radical ethics of connection across fragments and scars.




뉴뉴포스트모던니즘 선언문과 미술사 속 선언문들의 계보

1. 미래파 선언(Futurist Manifesto, 1909)

필리포 토마소 마리네티가 발표한 미래파 선언은 속도, 기계, 전쟁, 에너지를 찬양하며 기존 예술과의 급진적 단절을 선포했다. 이 선언은 과거를 파괴해야 미래가 온다는 믿음 위에 서 있었다.
뉴뉴포스트모던니즘과의 차이: 미래파는 "과거를 불태워야 한다"고 외쳤다면, 뉴뉴포스트모던니즘은 "과거의 잔해를 다시 엮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즉, 파괴가 아니라 재구성에 방점이 찍힌다.


2. 다다 선언(Dada Manifesto, 1916)

트리스탕 차라가 주도한 다다는 전쟁의 부조리 속에서 탄생했다. 다다는 무의미, 우연, 반(反)예술을 강조하며, 모든 가치와 제도를 조롱했다.
뉴뉴포스트모던니즘과의 차이: 다다는 제도의 무의미를 드러내는 데 머물렀지만, 뉴뉴포스트모던니즘은 그 무너진 제도의 잔해 위에서 **새로운 별자리(네트워크)**를 구성하려 한다.


3. 초현실주의 선언(Surrealist Manifesto, 1924)

앙드레 브르통은 무의식과 꿈, 자동기술을 통해 현실을 넘어서는 상상력의 세계를 선포했다. 초현실주의는 인간 내면의 잠재력을 예술의 원천으로 삼았다.
뉴뉴포스트모던니즘과의 차이: 초현실주의가 "내면의 무의식"에 집중했다면, 뉴뉴포스트모던니즘은 "집단적 기억, 희생, 잔해"라는 사회적·역사적 무의식을 드러낸다.


4. 상황주의 선언(Situationist International, 1960년대)

상황주의자들은 소비사회와 스펙터클을 비판하며 예술과 일상을 통합하려 했다. 그들은 권력과 자본이 생산하는 가짜 현실을 드러내고, 새로운 ‘상황’을 창출하려 했다.
뉴뉴포스트모던니즘과의 차이: 상황주의가 소비사회의 가짜 현실을 해체했다면, 뉴뉴포스트모던니즘은 해체 이후 남은 파편과 희생의 흔적을 재구성한다.


5. 뉴뉴포스트모던니즘 선언문 (Kwangmok Son, Marknsol)

뉴뉴포스트모던니즘은 모더니즘의 보편,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를 지나, 잔해와 희생, 언어와 레디메이드 위에서 새로운 좌표를 세운다.

미래파처럼 급진적이지만, 파괴가 아니라 재조합을 지향한다.

다다처럼 제도를 의심하지만, 무의미가 아니라 윤리적 질문으로 나아간다.

초현실주의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드러내지만, 개인의 무의식이 아니라 집단의 상처와 기억을 호출한다.

상황주의처럼 현실의 구조를 문제 삼지만, 스펙터클 해체가 아니라 잔해 속에서 새로운 아이콘을 세운다.



결론

뉴뉴포스트모던니즘은 20세기 선언문 전통을 이어받으면서도, 21세기의 조건—해체 이후, 잔해와 희생의 세계—를 겨냥하는 최초의 선언문이다.
즉, 과거의 선언들이 "부정"과 "단절"을 외쳤다면, 뉴뉴포스트모던니즘은 **"파편 위의 새로운 윤리적 연결"**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독창적이다.

Comments

Popu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