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hysics of Love: The Structure of Displaced Emotion
3. LOVE III – Residual Resonance (잔향의 물리학)
감정의 표면을 벗겨낸 뒤, 남는 것은 시간의 흔적이다.
색이 번지고 마르는 그 속도 자체가 사랑의 물리학이다.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시간이 녹는 속도의 문제이다.
> After emotion fades, what remains is the rhythm of decay.
Love exists only as the physics of time melting.
The Physics of Love: The Structure of Displaced Emotion
Love is no longer a language of romance.
It is an experimental structure where reason and emotion, matter and time, creation and decay intersect.
In my work, love is not a feeling but a physical event—
an avant-garde metaphor for reconfiguring the world through material experience.
Ice, stone, pigment, and foam board each contain a density of time.
They melt, absorb, crack, and diffuse—
and through these transformations, a new order begins to emerge.
In this process, love exists not as a form but as a process,
not as emotion but as the physics of vibration and trace.
My surface is not an expression of sentiment,
but a field of resistance,
where matter struggles against time and erosion.
The rate at which ice melts,
the direction in which color bleeds,
and the marks left by stone—each possesses a distinct temporality.
Within these layers, love ceases to be a word;
it becomes a tension born from fracture,
a resonance unfolding between disappearance and becoming.
In this work, I strip emotion of its surface
to explore its inner architecture—
the rhythm of formation and collapse.
Love is not a static sentiment;
it is a dynamic field of energy,
continuously deconstructing and reforming itself.
The physics of love, then,
is not an exploration of what we feel,
but of the conditions that allow feeling to occur.
Within this displaced artistic structure,
love is no longer bound to human narratives.
It re-emerges in the tempe
rature of ice,
the pressure of stone,
the density of color,
and the ethics of melting time.
> Love does not remain.
It resonates through disappearance.
That resonance, perhaps, is the most physical form of art.
사랑의 물리학: 전위된 감정의 구조
사랑은 더 이상 낭만의 언어가 아니다.
그것은 이성과 감정, 물질과 시간, 생성과 소멸이 교차하는 실험적 구조이다.
내 작업에서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하나의 물리적 사건이며,
물질적 경험을 통해 세계를 새롭게 재구성하려는 전위 예술의 은유다.
얼음, 돌, 안료, 우드락은 각각 고유한 시간의 밀도를 지닌다.
그들은 녹고, 흡수되고, 갈라지고, 번지며 —
그 변형의 과정 속에서 새로운 질서가 태어난다.
이 과정에서 사랑은 형태가 아니라 과정이며,
감정이 아니라 진동과 흔적의 물리학으로 드러난다.
나의 화면은 감정을 표현하는 장이 아니다.
그것은 **물질이 시간과 마찰하는 저항의 장(場)**이다.
얼음이 녹는 속도, 색이 번지는 방향, 돌이 남기는 자국은
각기 다른 시간의 층위를 품고 있다.
그 안에서 사랑은 언어가 아니라,
균열 속에서 피어나는 긴장과 울림으로 존재한다.
이 작업에서 나는 감정의 표면을 벗겨내고,
그 내면의 구조 — 즉, 생성과 붕괴의 리듬 — 을 탐구한다.
사랑은 고정된 감정이 아니라,
끊임없이 해체되고 다시 형성되는 동적 에너지의 장이다.
따라서 사랑의 물리학이란,
감정을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이 일어나는 조건을 해부하는 예술적 실험이다.
이 전위된 예술의 구조 속에서
사랑은 더 이상 인간 중심의 서사에 머물지 않는다.
그것은 얼음의 온도, 돌의 압력, 색의 밀도,
그리고 시간이 녹아내리는 윤리 속에서 다시 태어난다.
> 사랑은 남지 않는다.
그러나 사라지며 울린다.
그 울림이야말로 예술의 가장 물리적인 형태이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