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llapse and Materialization of Emotion
![]() |
01 |
![]() |
02 |
The Collapse and Materialization of Emotion
Marknsol, 2025
Emotion always moves toward collapse.
It carries within itself a desire not to sustain but to dissolve,
to return to the material condition from which it once emerged.
What we call love, fear, desire, or sorrow are not eternal states of mind
but temporary architectures — structures that fracture under the weight of time, temperature, and pressure.
I record this process of disintegration as art.
Emotion is invisible matter.
Yet it always leaves a residue on the surface of the world.
Ice reveals this residue with the greatest precision.
It preserves emotion even as it announces its disappearance.
Within ice, emotion momentarily pauses; but this stillness is not death.
Invisible tremors of heat, vibrations of water, and reflections of light
reveal that emotion continues to move beneath its frozen skin.
In this suspended state, emotion transforms into matter —
a physical conversion from interior to exterior, from sensation to structure.
The collapse of emotion is not destruction; it is migration.
It is the moment when emotion abandons its language
and reconfigures itself as a new material order.
What cannot be spoken becomes color;
what cannot be remembered becomes temperature;
what cannot be held becomes density.
Emotion seeps into stone, pigment, and metal,
and through this mutual infiltration, a new ethics of existence arises.
I call this residue the physics of emotion.
Here, emotion no longer belongs to the subject;
it becomes the sensory organ of the world itself.
As emotion dissolves, the world becomes clearer,
its outlines no longer softened by sentiment but illuminated by transparency.
This clarity is not indifference; it is the lucid temperature of responsibility.
Art operates within this clarity.
The artist does not express emotion;
he witnesses its disappearance,
tracing the faint echo left behind as emotion materializes into form.
In this sense, the artwork is not the product of feeling,
but the testimony of its physical transformation.
Color that bleeds, ice that cracks, and light that fades —
each marks the moment when emotion collides with the world and leaves behind a scar of becoming.
I gather these traces,
assembling scenes where emotional disintegration
and material reconstruction coexist.
Within these scenes, emotion ceases to be an interior event;
it becomes a global structure in which time and matter reflect upon themselves.
Ultimately, the collapse of emotion is its transcendence.
Emotion passes from language to matter,
from matter to time,
and from time to ethics.
At the end of this long conversion remains one physical question:
“How does emotion become the world?”
My answer is art.
〈감정의 붕괴와 물질화〉
Marknsol, 2025
감정은 언제나 무너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것은 형체를 유지하려는 힘보다, 스스로를 해체하려는 속성을 더 강하게 지닌다.
인간이 느끼는 사랑, 두려움, 욕망, 슬픔은 모두 일시적인 구조물이다.
그 구조는 온도와 압력, 시간의 경과 속에서 균열을 일으키며 스스로 붕괴한다.
나는 그 붕괴의 과정을 예술로 기록한다.
감정은 보이지 않는 물질이다.
그러나 그것은 언제나 물질의 표면 위에서 흔적을 남긴다.
얼음은 그 흔적을 가장 선명하게 보여주는 매체이다.
얼음은 감정을 보존하면서 동시에 그 소멸을 증명한다.
얼음 속에서 감정은 일시적으로 멈추지만, 그 정지 상태는 결코 죽음이 아니다.
보이지 않는 미세한 열의 떨림, 수분의 순환, 빛의 반사는 감정이 여전히 살아 있음을 말해준다.
그 정지된 시간 속에서 나는 감정이 물질로 이행하는 물리적 변환의 순간을 관찰한다.
감정의 붕괴는 단순한 소멸이 아니다.
그것은 감정이 자신의 언어를 버리고, 새로운 형태의 질서로 이동하는 사건이다.
언어로 표현되지 않는 감정은 색으로 스며들고, 냄새와 온도로 남으며,
결국 돌과 얼음, 금속과 같은 물질의 내면에서 새로운 생리학적 체계를 구성한다.
감정은 물질 속으로 들어가고, 물질은 감정을 흡수한다.
이 상호 침투의 과정 속에서 존재의 윤리가 발생한다.
나는 그 잔여를 ‘감정의 물리학’이라 부른다.
그곳에서 감정은 더 이상 주체의 소유물이 아니라,
세계가 스스로를 감지하는 감각 기관이 된다.
감정이 녹아내린 자리에는 차가운 물질의 윤리가 남는다.
그 윤리는 뜨거운 감정의 반대가 아니라,
감정을 끝까지 밀어붙인 끝에서 도달한 투명한 온도다.
예술은 그 투명함을 다루는 일이다.
예술가는 감정을 표현하지 않는다.
그는 감정이 사라지는 과정을 관찰하고,
그 사라짐의 잔향을 표면 위에 기록하는 존재다.
이때 작품은 감정의 산물이 아니라,
감정이 붕괴하며 남긴 물질적 증언(testimony) 이 된다.
색이 번지고, 얼음이 갈라지고, 빛이 흩어지는 순간 —
그 모든 것은 감정이 세계와 부딪히며 남긴 흔적이다.
나는 그 흔적을 모아,
감정의 물리적 해체와 윤리적 재구성을 동시에 드러내는 장면을 만든다.
이 장면 속에서 감정은 더 이상 내면의 사건이 아니라,
시간과 물질이 교차하며 스스로를 반성하는 하나의 세계적 구조가 된다.
결국 감정의 붕괴란
감정이 자기 자신을 초월하는 과정이다.
감정은 언어에서 물질로, 물질에서 시간으로, 시간에서 윤리로 변한다.
그 긴 이행의 끝에서 남는 것은 하나의 물리적 질문이다.
“감정은 어떻게 세계가 되는가.”
이 질문에 대한 나의 대답이 바로 예술이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