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cology of Ice Civilization: The Materiality of Disappearance and the Ethics of Slowness
The Ecology of Ice Civilization: The Materiality of Disappearance and the Ethics of Slowness
Marknsol
2025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that art should not be confined to formal or aesthetic representation but instead understood as an ecological system that reconstructs perception and ethics through material transformation.
The Ice Civilization—a concept born from frozen pigments and melting colors—offers a new protocol for imagining civilization through the temporality of disappearance.
As pigments dissolve and flow, the melting ice becomes an eco-trace, a non-permanent archive that re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terial, and perception.
Drawing on Franco Berardi’s notion of the “crisis of sensibility,” Timothy Morton’s “hyperobject,” and Daoist cosmology, this study explores how slowness, dissolution, and non-preservation form the ethical basis for a sustainable aesthetic future.
Keywords: Ice Civilization, Sensory Ecology, Materiality of Disappearance, Ethics of Slowness, Eco-trace
1. Introduction — From Representation to Ecology
Art has long served as a device for representation and preservation.
However, in the Anthropocene, where acceleration and exhaustion define human existence, art must evolve into an ecological process rather than a monumental object.
Ice Civilization reframes art as a living ecosystem:
a practice that resists permanence and instead explores the temporality of melting, erosion, and transformation.
Ice, inherently unstable, rejects the logic of preservation and instead foregrounds impermanence as a site of ethical awareness.
As I freeze pigments drawn from everyday materials—ketchup, coffee, instant noodle powder, cola, and chocolate—these substances embody the residues of labor, desire, and consumption.
The moment of melting becomes a meditation on decay, fragility, and the shared temporality of nature and humanity.
2. Ice as a Material Archive — The Ecology of Disappearance
Traditional archives are built on the premise of preservation.
In contrast, ice constructs an archive of disappearance.
As frozen colors dissolve, the pigments leave stains, flows, and unpredictable marks that echo the logic of natural ecosystems.
Here, the archive is no longer a fixed repository of memory but a living record of transformation.
This aligns with Morton’s notion of hyperobjects—entities so vast in temporal and spatial scale that they exceed human perception.
Ice, like climate or decay, operates beyond control; it reveals a world that can only be witnessed as it vanishes.
Thus, the melting process itself becomes a site of meaning—an ethical encounter with transience.
3. The Ethics of Slowness — Reclaiming the Senses
Berardi argues that our era is defined not by a crisis of meaning, but by a crisis of sensibility.
Overstimulated by digital information and economic acceleration, humanity has lost the capacity to feel.
Ice, as a slow material, resists the capitalist tempo.
The duration of melting invites the viewer into temporal deceleration—
a form of resistance through waiting, witnessing, and sensing.
This temporality is not passive; it is a moral act.
As the pigments seep and merge, the audience confronts the rhythm of natural decay and, within it, the recovery of embodied perception.
Such slowness echoes Daoist cosmology, where fullness arises from emptiness and life unfolds through continuous dissolution.
The ice, though transparent, holds infinite fractures, air bubbles, and micro-patterns—each a world of imperfection and transformation.
4. The Eco-Trace — Language of Vanishing
The traces left by melting ice are neither inscriptions nor representations; they are echoes of disappearance.
These residual marks, blurred and diffused, form a new semiotics of erosion—
a visual language that speaks through absence.
I call this phenomenon the eco-trace:
a trace that does not record but reverberates,
a residue that does not remain but continues to echo.
It transforms disappearance into presence,
and silence into resonance.
The eco-trace articulates an ethics of non-possession:
art becomes not what we keep, but what we release.
5. Conclusion — Toward an Ecology of Letting Go
Ice Civilization proposes an ecological redefinition of art.
Rather than constructing permanence, it celebrates impermanence as a form of care and renewal.
In this system, art no longer claims to preserve truth or memory;
it becomes an organism that breathes, melts, and dissolves into the environment.
Art, then, must not ask what it can leave behind—
but what it can let go.
Only through disappearance can art sustain its ethical and ecological resonance.
References
Berardi, F. (2017). Futurability: The Age of Impotence and the Horizon of Possibility. Verso.
Morton, T. (2013). Hyperobjects: Philosophy and Ecology after the End of the World.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Laozi (老子). Tao Te Ching.
Derrida, J. (1995). Archive Fever: A Freudian Impress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얼음-문명과 감각의 생태: 소멸의 물질성과 느림의 윤리
(The Ecology of Ice Civilization: Materiality of Disappearance and the Ethics of Slowness)
저자: 마크앤솔
연도: 2025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예술이 단순히 시각적 표현의 영역을 넘어, 물질적 생태계 속에서 감각과 윤리를 재구성하는 과정임을 제시한다.
‘얼음-문명(Ice Civilization)’은 소멸하는 물질을 통해 지속 가능한 감각의 구조를 실험하는 하나의 생태적 모델이다.
색이 얼고 녹는 과정은 인간의 감정과 환경의 리듬이 교차하는 생태적 순환을 드러낸다.
이 연구는 예술을 보존의 장치가 아닌 ‘흘러보냄의 생태’로 제안하며,
느림과 소멸의 미학을 통해 감각의 회복을 윤리적 차원으로 재정립한다.
키워드: 얼음-문명, 감각의 생태, 소멸의 물질성, 느림의 윤리, 에코-트레이스
1. 서론 — 예술의 생태적 전환
오늘날 예술은 환경 문제와 감각의 위기라는 이중의 압력 속에 놓여 있다.
Berardi가 말했듯, 현대 사회의 위기는 의미가 아니라 감각의 위기이다.
인간은 정보의 과잉과 속도의 폭력 속에서 더 이상 ‘느끼지 못하는 존재’가 되었다.
나의 작업은 바로 이 감각의 피로를 되돌리는 실험이다.
나는 케첩, 커피, 라면스프, 초콜릿, 콜라, 환타 같은 일상의 색을 얼음 속에 봉인한다.
이 재료들은 자본주의적 소비와 식민의 역사, 그리고 감각의 피로를 상징한다.
얼음은 이 재료들을 잠시 멈추게 하고, 그 소멸의 시간을 시각화한다.
그 과정에서 예술은 하나의 생태적 시스템으로 작동한다 — 시간과 감각을 재배치하는 느림의 생태.
2. 물질로서의 얼음 — 소멸의 생태학
얼음은 물질적이면서도, 비물질적이다.
그것은 순간적으로 형체를 가지지만, 동시에 녹으며 사라진다.
이 모순적 존재 방식은 생태계의 순환 논리와 닮아 있다.
색 얼음 드로잉 작업에서 얼음이 녹는 과정은 단순한 물리적 변화가 아니라,
자연의 해체와 인간의 개입이 교차하는 생태적 사건이다.
녹은 색이 캔버스를 따라 흐르고, 바닥에 스며드는 순간
그 자국은 새로운 생명처럼 예측 불가능한 형태를 만들어낸다.
나는 이 과정을 “에코-트레이스(Echo-Trace)”라 부른다.
이 흔적은 보존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라지며 울린다.
그 울림은 생태계의 언어와 닮았다 — 존재는 소멸을 통해서만 지속된다.
3. 느림의 윤리 — 시간의 생태학
얼음이 녹는 속도는 인간의 시간보다 느리다.
그 느림은 자본의 시간과 대립하며, 윤리적 행위로서의 느림을 제안한다.
Berardi의 인지자본주의 개념에 따르면, 현대의 인간은
지속적인 자극 속에서 사고와 감각을 소비한다.
이에 반해, 얼음의 시간은 ‘감각의 회복’ 그 자체이다.
얼음이 녹아내리는 동안, 관람자는 기다릴 수밖에 없고,
그 기다림 속에서 시간은 다시 ‘살아 있는 감각’으로 복원된다.
이 느림의 시간은 『도덕경』의 “무위(無爲)”와 “유(有)·무(無)”의 순환과도 통한다.
무(없음)가 유(있음)을 낳고, 공허가 충만을 낳는다.
소멸은 결핍이 아니라, 생태적 재생의 조건이다.
4. 예술의 생태적 윤리 — 남김이 아닌 흘려보냄
근대의 예술은 작품을 ‘남기기 위한 행위’로 여겼다.
그러나 얼음의 예술은 반대로, 사라지기 위한 행위다.
형태는 녹고, 색은 섞이며, 의미는 흐릿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로 그 소멸의 순간에
새로운 관계와 감각이 태어난다.
이것이 내가 말하는 감각의 생태이다.
예술은 자연처럼 순환해야 한다.
예술의 임무는 남기는 것이 아니라, 흘려보내는 것이다.
5. 결론 — 얼음 이후의 예술
얼음-문명은 기념비적 건축이 아니라,
끊임없이 녹아내리는 감각의 생태계이다.
예술은 물질과 시간, 인간과 환경 사이의
새로운 관계망을 실험하는 윤리적 장치로 작동한다.
나는 이제 묻는다.
예술은 무엇을 남겨야 하는가?
아니, 이제는 이렇게 물을 때다 —
예술은 무엇을 흘려보내야 하는가.
Comments
Post a Comment